(사)한국습지환경보존연합

(사)한국습지환경보존연합

생태 ·습지자료실
습지의 개요

1. 습지와 인류 사회

 

습지(wetlands)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가장 중요한 자연생태계 중의 하나이다. 인류역사에 크게 영향을 미친 사례 중 습지와 관련된 중요한 내용 중 하나는, 근대사회 발전의 원동력이 되어 현재 인류가 의존하고 있는 화석연료의 대부분이 늪(swampy) 상태의 석탄기(Carboniferous Period)에 형성된 것이라는 사실이다. 또한 티그리스와 유프라테스, 나일, 인더스, 메콩 강 등 세계 주요 하천 습지에서 역사적으로 위대한 문명이 발생하고 발달하여 왔다. 이들 습지는 인류에게 식수, 목초지, 운송 수단, 건축 재료, 놀이 및 휴식공간 등을 제공하였으며 종교, 신화, 예술에서 인류문화사의 의미있는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이 습지는 지구의 수많은 화학, 물리 및 유전인자의 생산장(source), 저장소(sink) 및 변화의 산실(transformer)로서 인류에게 오랜 기간 동안 매우 귀중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 습지가 가지고 있는 역할 중, 자연현상 및 인간의 활동으로 발생된 유무기질 물질을 변화시키고, 수문수리화학적 순환을 시킨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수질을 정화할 수 있는 자정 역활이 이루어지는데, 이런 맥락에서 자연의 콩팥(nature’s kidney)”이란 용어로 묘사가 되곤 한다. 습지의 수질 정화 역할 이외에도, 습지는 홍수 방지 및 해안 침식 방지, 지하수 충전을 통한 지하수 양 조절 등의 다양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습지는 인류를 포함한 각종 동물의 식수외에 생물들의 먹이를 생산하여 공급하는 장이 된다. 습지를 기반으로 하는 풍부한 생물 다양성과 광대한 먹이사슬로 인해 습지는 생태학적 슈퍼마켓(ecological supermarket)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또한 습지는 다양한 종류의 식물 및 동물군을 형성해, 아름답고도 특이한 자연경관을 만들어 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습지의 가치가 인류에게 알려진 것은 최근의 일이며, 습지로 인해 인류사회가 얻을 수 있는 혜택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고 그 중요성이 인정되고 시작한 것은 최근의 일이다.

지구상의 습지는 지구 표면의 약 6%를 차지하고 있으며 5대주에 걸쳐 열대지역 으로부터 한대에 이르기까지 골고루 분포되어 있고 그 면적은 860 km2에 이르고 있다 (1 참조). 사막의 습지는 내수면 鹽平地(salt flats), 온대지역은 온도의 차이에 따라 지역별로 다양한 내륙습지가,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는 沼澤地(swamp)의 형태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들 지역에서는 문화적 여건의 차이에 따라 인류사회에 유익하게 이용되어 왔는데 예를 들어 남부 프랑스 연안의 카마르그 (Camarguais), 이라크 남부 지역의 마쉬 아랍 (Marsh Arabs), 미국 루지애나주의 케이준 (Cajuns) 지역 등은 자연과 친화하며 생활한 공간이었다. 동남아지역을 위시한 여러 나라에서는 논이라는 인공습지 형태로 작물을 생산하여 인류의 생존에 필요한 식량자원의 공급기능을 제공해왔고, 아일랜드와 러시아에서는 토탄(peat)을 채취해 에너지원으로 이용해 왔으며, 인도네시아, 말레이지아, 동아프리카 및 중남미 아메리카 지역의 많은 나라들은 연안에 있는 맹그로브(mangrove) 습지림에서 목재, 식량 및 타닌(tannin) 등을 손쉽게 획득하였으며, 영국 등 초원 습지에서는 방목, 건초 생산 및 자연적인 지붕재료 등을 얻을 수 있었다.


1. 세계의 습지 단위: km2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구분 기후대 습지면적 기후대별 비율(%)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극지대(Polar) Humid; semihumid 200 2.5

 

한대(Boreal) Humid; semihumid 2,558 11.0

 

아한대(Sub-boreal) Humid 539 7.3

Semiarid 342 4.2

Arid 136 1.9

 

아열대(Subtropical) Humid 1,077 17.2

Semiarid 629 7.6

Arid 439 4.5

 

열대(Tropical) Humid 2,317 8.7

Semiarid 221 1.4

Arid 100 0.8

총계 8,558 6.4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이 습지가 다른 생태계에 비하여 최근 그 중요성이 크게 인식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습지가 제공할 수 있는 여러 생태적 기능에 의해 인류 사회에 유익한 보전적 가치가 점차 알려져 가고 있기 때문이다. 습지가 지닌 주요한 생태적 기능으로는 조류, 어류, 포유류, 양서류, 파충류 등의 각종 야생 동물의 서식처로 제공되고, 유수 속의 침전물과 유기물을 제거하며, 지표수 및 지하수의 저장 및 충전을 통한 유량을 조절하는 동시에 수변과 연계된 레크리에이션의 이용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서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별히 한 지역의 습지를 효과적으로 보존하면 생물 종의 다양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연안과 내수면의 수질을 정화할 수 있으며, 각종 수산 및 어족자원을 풍부하게 제공할 수 있는 서식처로 이용할 수 있으며, 지하수의 보수 및 홍수조절에 기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연교육, 생태관광, 레크리에이션 및 각종 연구활동을 위한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습지의 모든 생태적 가치 외에도 습지가 우리 인간에게 제공하는 경관적인 가치는 매우 큰데, 육지와 물이 연계되어 나타나는 자연습지는 심미적 효과가 뛰어나 자연성을 체험할 수 있는 거점 역할을 하고 있다.

습지와 우리 인류사회를 관계를 한 마디로 요약하면, 특색 없이 보이는 소규모의 습지라 할지라도 그 습지가 제공하여 주는 경관적 다양성과 자연생산력이 높은 습지생태계는 자연과 우리 인류를 지탱하여 주는 매우 중요한 생태적 자원임에 틀림없다.


2. 습지 정의에 대한 사례

일련

번호

습지의 정의

참고문헌

영문

국문

1

Wetlands are transitional zones between open water and dry land. They often occur where water is found at or near the ground's surface or in places where the ground is covered by shallow water ranging from a few inches to several feet.

습지란 수역(水域)과 육역 사이의 전이지대로, 지표면 혹은 지표면 가까이에 물이 있거나 수 인치 내지 수 피트 깊이의 얕은 물로 덮여있는 곳을 말한다.

Wetlands Overview , Federal and State Policies, Legislation, and Programs, United States General Accounting Office, GAO/RCED-92-79FS, 1991, p. 8

2

Wetlands are depressions covered by water for varying periods of time.

습지란 시간이 지나도 물로 덮여있는 함몰지를 의미한

.

Managing your Wetlands, A Practice guide for landholders, Asia-Pacific Migratory Waterbird Conservation Strategy : 1996-2000, Asian Wetland News, 1994, p. 2

3

Wetlands are an ecotone, the transitional zone between land and water, and they combine characteristics of both environments besides having som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ir own.

 

습지는 육역과 수역 사이의 전이지대, 즉 추이대 (Ecotone)로서, 이 곳에서는 육지와 수역 자체의 독특한 특성 뿐만 아니라 두 지역 환경의 특성이 결합되어 나타난다.

LIMNOLOGY, Alexander J. Home & Charles R. Goldman, McGraw - Hill, Inc., 1994, p. 408

4

Wetlands are areas of marsh, fen, wetlands or water, whether natural or artificial, permanent or temporary, with water that is static or flowing, fresh, brackish or salt, including areas of marine water the depth of which at low tide does not exceed six

metres .

 

천연 또는 인공이든, 영구적 또는 임시적이든, 물이 정체 또는 흐르든, 담수(淡水), 기수(汽水), 또는 염수(鹽水) 든지, 저조(低潮)6미터를 초과하지 않는 깊이의 해수 지역을 포함하는 늪, 습원, 이탄지 또는 물로 된 지역들이다

람사협약, 11

5

The term "wetlands"....refers to lowlands covered with shallow and sometimes temporary or intermittent waters. They are referred to by such names as marshes, swamps, bogs, wet meadows, potholes, sloughs, and river-overflow lands. Shallow lakes and ponds, usually with emergent vegetation as a conspicuous feature, are included in the definition, but the permanent waters of streams, reservoirs, and deep lakes are not included. Neither are water areas that are so temporary to have little or no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moist-soil vegetation.

 

 

습지는 보통 일시적 혹은 간헐적으로 얕은 물로 덮여 있는 저지(低地 )를 의미한다. 습지는 marsh, swamp, bog, wet meadow, pothole, slough river-overflow land 라고도 불린다. 물 위로 노출된 식생과 같이 뚜렷한 특색을 지닌 수심이 얕은 호수, 못은 습지에 해당하지만 물이 항상 차 있는 하천, 저수지, 수심이 깊은 호수는 이에 포함하지 않는다. 습지식생 발달에 영향을 혹은 거의 주지 않는 일시적인 수역도 제외된다.

 

 

Wetlands, William J. Mitsch James

G. Gosselink, Van Nostrand Reinhold, 1986. p. 17. U.S. Circular 39의 정의

6

Wetlands is defined as land having the water table at, near, or above the land surface or which is saturated for a long enough period to promote wetland or aquatic processes as indicated by hydric soils, hydrophilic vegetation, and various kinds of biological activity which are adapted to the wet environment.

 

 

 

 

습지란 지하수면이 지표면 혹은 그 근처 혹은 그 위에 놓여 있거나 습윤한 토양, 친수성 식생 및 습한 환경에 적응된 여러 종류의 생물활동에 의해 나타나는 습지 혹은 수성화(水性化) 과정을 촉진하기에 충분히 오랜 기간동안 포화되어 있는 땅을 의미한다.

 

 

Wetlands, William J. Mitsch James

G. Gosselink, Van Nostrand Reinhold, Canadian Wetland Register의 정의

7

Wetlands are lands transitions between terrestrial and aquatic systems where the water table is usually at or near the surface or the land is covered by shallow water... Wetlands must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three attributes : (1) at least periodically, the land supports predominantly hydrophytes, (2) the substrate is predominantly undrained hydric soil, and (3) the substrate is nonsoil and is saturated with water or covered by shallow water at some time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each year.

 

습지는 지하수면이 지표면 혹은 그 근처에 놓여 있는 육상생태계와 수생 생태계의 전이지대 또는 수심이 얕은 물로 덮여있는 땅이다. 습지는 다음과 같은 속성 중 하나 혹은 그 이상의 특징을 지녀야만 한다.

1) 이 땅에서는 최소한 주기 적이라도 수생식물이 유지됨

2) 기층은 주로 배수가 되지 않는 수성토양으로 이루어짐 3) 기층은 비토양(nonsoil) 이며, 물로 포화되어 있거나 혹은 매년 생육기간 중 일정기간은 얕은 물로 덮여 있다.

Wetlands, William J .Mitsch James

G. Gosselink, Van Nostrand Reinhold, Canadian Wetland Register의 정의

8

The term "wetlands" means those areas that are inundated or saturated by surface or ground water at a frequency and duration sufficient to support, and that under normal circumstances do support, a prevalence of vegetation typically adapted for life in saturated soil conditions. Wetlands generally involve swaps, marshes, bogs, and similar areas.

 

 

습지는 포화된 토양조건에서 살아가도록 잘 적응된 식생의 확산을 정상적인 상황하에서 유지하는데 충분한 빈도와 기간 동안 지표수 혹은 지하수에 의하여 물에 잠겨 있거나 혹은 포화되어 있는 그러한 지역을 의미한다. 습지에는 일반적으로 swamps, marshes, bogs 및 이와 유사한 지역이 포함된다.

 

Wetlands, William J. Mitsch James

G. Gosselink, Van Nostrand Reinhold, Canadian Wetland Register의 정의


이와 같이 습지의 정의는 매우 다양하고, 지역의 특성 및 분류의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습지에 대한 개념과 정의 또한 생태학, 수문학, 지질학, 식물학, 사회학, 경제학, 정치학을 전공하는 사람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따라서 국내 습지의 통일되고 공정하며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습지와 관련된 생태학, 지리학 및 지형학, 해양학, 수리학 및 수문학, 토양학, 식물학, 경관학 등 여러 학문 분야(Multidisciplinary)의 전문가가 공감할 수 있는 국내 습지의 정확한 정의 도출과 함께 용어의 체계적 분류가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서는 무질서한 용어의 혼용에 따른 전문성이 떨어져, 국내 습지 전반의 정책 수립 및 집행에 있어 혼란이 가중되고, 이러한 문제는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과 관련된 습지외교정책에 일관성이 결여될 수밖에 없는 매우 시급한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습지의 중요성을 새삼 인식하고, 전문성과 보편 타당성을 충족 할 수 있는 특별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2. 국외 습지의 분류 사례

 

(1) Circular 39

습지에 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습지의 개념, 정의 및 분류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이후의 일이다.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많은 분류 체계 중, 가장 널리 알리 알려져 있는 것 중의 하나는 미국의 어류 및 야생동물 서비스(U.S. Fish and Wildlife Service)에서 분류한 Circular 39(Shaw and Fredline, 1956)이다. 이 분류체계에서는 습지를 야생조류의 중요한 서식지로 간주해 초원(fresh meadows), 관목소택지(shrub swamps), 소택지림(wooded swamps), 습원(bogs), (marshes), 염습지(salt marshes), 紅樹林(mangroves), 얕은 연못(pothhole), 하천범람지(river-overflow land) 등 미국의 습지를 대상으로 20개로 분류하였다. 이 분류체계는 야생조류의 정책 수립 또는 야생조류와 관련된 토지이용계획 수립에 도움이 되도록 이용하였는데, 이 분류체계에서는 식물의 서식이 뚜렷하거나 얕은 호수 및 연못은 습지로 분류하였지만, 물의 흐름이 계속되거나 깊은 호수와 연못은 포함하지 않았다. 즉 이 Circular 39에서는 얕은 수면으로 덮여 있거나 물이 천천히 들어오고 나가는 낮은 지역만을 대상으로 삼았는데, Circular 391971년 습지목록(wetland inventory)과 습지의 경계 설정(delineation)에 적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분류체계는 야생조류의 서식처 기능외의 습지의 생태적 기능에 관심이 있는 여러 전문가들의 공감대를 얻지 못했고, 습지의 전통적인 용어인 소택지(swamp), 습원(bog), (marsh) 에 대한 개념에 혼란을 가중시켰다.


(2)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서비스의 체계적 분류

1979년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서비스는 미국 전역을 대상으로 습지목록을 제작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일의 준비 작업으로 습지에 관한 분류를 미국 지질국 (U.S. Geololigcal Survey), 해양 및 대기관리국 (National Oceanic Atmospheric Adminbistration) 을 위시한 연방정부 관계전문가와 습지생태학자들의 도움으로 197710월 습지 분류의 체계적인 기틀을 완성한다 (Cowardin et. al., 1979). 이 분류 작업에 참여했던 전문가들은 습지가 가지고 있는 다양성과 육지와 수계와 연계되어 계속해서 나타나는 특성 때문에 하나의, 정확하고, 논쟁의 여지가 없이, 생태적인 개념에 기반한 (single, correct, indisputable, and ecologically sound)” 습지의 정의를 도출하는데 어려움이 많았음을 인정하였다. 이 분류체계에서 정의한 습지의 개념은 육지와 수계가 겹치는 지역으로 다음의 3 기준 즉 침수빈도(frequency of the flooding)와 수분에 포화된 토양 (hydric soil) /또는 토양 포화도 (soil wetnees)와 수생식물(hydrophyte vegetation) 로 분류하였다. 이 분류체계는 그림 2와 같이 다양한 습지의 차이를 이 세 가지 기준으로 비교해 정리하였고, 습지의 특성을 생태권역의 범위와 수리지형화학 또는 생물적 특성에 따라 계-소계--우점종(system-subsystem-class-dominance) 등의 단계별(hierarchy) 분류에 따라 구분하였으며, 계의 수준에서는 5, 소계에서는 11, 강에서는 55, 우점종에서는 170개로 나누었다. 그 결과 이 분류체계에 따르면 개별 습지는 210,240개 중의 하나로 최종 분류되는 방식을 택하였다 (Yi, 1992).


그림 2. 미국 NWI 의 습지 분류 체계

(출처 : Cowardin et. al., 1979)

이 분류작업에 참가한 연구자들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많은 습지의 분류체계와 면밀히 비교하는 수고를 거쳤으며, 이러한 노력은 습지와 관련된 여러 전문가와 관계기관에서 체계적인 분류체계로 인정하기 시작하였다. 그후 미국의 어류 및 야생동물서비스는 이 분류체계에 근거해 미국 전역을 대상으로 습지목록을 작성하게 된다.

 

3. 람사협약에서 규정한 습지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를 보호하는 람사협약에서의 습지란 물이 환경 및 그 환경과 연관된 동식물을 통제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지역으로 정의하고 있다. 육지의 표면 또는 그 근처에 지하수면이 있거나, 육지가 얕은 물로 덮여있는 지역이다. 람사협약은 수세기 동안에 걸쳐서 형성된 다양한 습지를 정의하기 위해서 폭넓은 접근을 한다. 람사협약 조항 1.1에 따르면 천연 또는 인공이든, 물이 정체 또는 흐르던, 담수(淡水), 기수(汽水) 또는 염수(鹽水)든지 관계없이 저조(低潮)시 늪, 습원, 이탄지 또는 물로 된 지역이다.” 또한, 조항 2.1에 따르면 강 또는 해안지역이 인접한 습지와 만나는 지역과 간조 시 6미터 이상의 해양 또는 섬이 습지 내에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러한 정의에 의해서, 람사협약이 적용되는 지역은 다양한 유형의 서식지가 있는데, 강과 호수, 해안의 석호, 망그로브 지역, 이탄지 뿐만 아니라 산호초까지 포함된다. 그 이외에도 양어장, 저수지, 염전, 자갈 채취장, 관개농경지 및 운하와 같은 인공적인 습지도 포함된다. 즉 습지는 툰드라지역에서 열대우림지역까지 거의 모든 나라에 존재하는 생태계이다 (인천광역시, 1999).

 

람사협약에서 습지의 분류가 이루어 진 것은 제 4차의 제안(Recommendation 4.7)1996년 호주 브리스번에서 열린 6차 당사국회의에서 수정결정 (Resolution VI.5)이후의 일이다. 람사협약에서는 개별 습지의 특성을 빠른 시간내 구분할 수 잇는 광범위한 범위를 설정하였는데 습지의 대분류에서는 3개 즉 염수, 담수 및 인공 습지로 구분하였다.

 

 

4. 네덜란드 습지의 분류 체계



전 국토의 약 1/3 이상이 연안과 내수면을 차지하고 잇는 네덜란드는 다양한 습지를 가지고 있으며, Nederland(Pays Bas, Paisos) 란 용어가 뜻하듯이 육지가 해수면보다 낮은 나라이다. 1450년경에 육지에 있는 모든 하천의 제방을 건설해 필요한 곳을 개간해 국토의 약 70 %농지로 만들어버리는 과정에서 약 4% 만이 자연식생을 유지하고 있는 이 나라는, 습지 훼손에 따른 더 이상의 국가적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람사에서 제안하는 습지의 정의와 개념을 그대로 받아 들여, 다음 표와 같이 분류하였는데, 그 내용을 보면 람사협약에서 제안한 분류체계 중 자국의 습지를 나타내는 것만 그 분류체계에 포함한 것이 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네덜란드 또한 미국과 같이 국가습지목록을 완성하였고, 그중 국제적으로 귀중하다고 판단된 58개의 습지 면적은 약 957,000 ha라고 보고하였다(Osieck & Borggreve, 1999).

 

 

5. 인류사회에 유익한 습지의 주요 역할

 

습지의 중요성은 최근에 와서 재인식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은 인류사회에 유익한 습지의 역할 때문이다.

 

1) 생물에게 다양한 서식 환경을 제공한다.

습지내 풍부한 플랑크톤이나 유기성 분해물질은 수서 곤충이나 어패류의 먹이를 제공하고 수서 곤충이나 어패류는 온갖 조류나 양서류, 소형 포유동물의 먹이가 된다. 이들은 뱀, 악어 등의 파충류나 물소, 사슴, 야생말 등의 동물들을 불러들여 거대한 먹이사슬을 제공할 수 있는 서식환경이다. 더욱이 습지는 지구상 그 어느 지역보다 생물학적 생산성이 높은 곳 중의 하나이며 지구 `생명의 신비와 질서를 잘 간직하고 있는 곳이다. 미국의 경우 현재 멸종위기에 처하거나 위협을 받고 있는 생물종의 약 1/3 이상이 습지 생태계에서만 발견되고, 전체 생물의 거의 절반이 습지 생태계에 의존한다는 된다는 보고가 있다. (홍재상, 1999)

 

2) 생물생산력이 매우 뛰어나다.

지구상에 있는 습지 생태계의 생산력은 평균 3000 g/㎡․yr 이상으로 알려져 있고, 이는 열대우림 생태계와 비슷하다. 해양 생태계 중에서 1차 생산력의 연평균 생산율을 보면 하구역이나 해조숲-산호초 생태계의 생산력이 대륙붕이나 용승해역 보다 4배정도 높고, 외해역보다는 거의 10배 이상 차이가 나서, 생산력은 대륙붕 보다 약 10, 외해역 보다는 거의 30배 이상 높은 생산력을 보인다. (홍재상, 1999). 이산화탄소(CO2) 교환에 의한 미국 연안 Fahkahatchee Bay 지역의 망그로브 습지 생태계의 순생산량은 약 13.9 gC/㎡․day에 이르고 있고, 담수 생태계의 경우 표준화된 측정 방법의 결여로 인해 정확한 비교는 어렵지만 단위 면적 당 생산력이 1,000 - 3000 g/㎡․yr에 달하는 높은 생산력을 보인다 (Mitsch & Gosselink, 1986).

 

3) ‘이라는 매개체를 가짐으로써 중요한 수문 및 수리학적 기능을 수행한다.

습지의 토양은 단위 부피 당 보유할 수 있는 물의 양이 많고 자연적으로 형성된 배수관개로가 복잡하며 조직적이어서 우기나 가뭄 때 필요한 자연 댐의 역할을 한다. 우기나 홍수 때의 과다한 수분은 습지토양 속에 저장되었다가 건기에 지속적으로 주위로 공급함으로서 수분을 조절한다. 이때 토양은 표면유출수를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토양 침식을 방지하거나 홍수 등을 조절하기도 한다. 이러한 기능은 마치 자연의 스펀지처럼 표면수의 급류를 일시적으로 차단, 흡수하여 천천히 방류시키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높은 수위를 낮출 수 있고, 습지를 구성하는 식물의 뿌리는 토사를 붙잡아 고정시키면서 해안 또는 하안(河岸)의 침식을 방지하고 홍수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완충지의 역할을 한다. 특히 도시 지역 내 하천 주변의 습지는 포장된 도로 또는 건물에서 유출되는 표면수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범람의 피해를 줄이는 등 자연재해의 조절 기능을 수행한다.

 

4) 습지는 중요한 기후 조절기능을 수행한다.

전 세계의 약 6%를 차지하는 습지는 거시적인 기후 조절 측면에서 대기 중으로의 탄소의 유입을 차단하여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의 양을 적절히 조절해 주며, 미시적 측면에서는 한 지역의 대기온도 및 습도 등을 조절하는 국지적 기후 조절기능을 가진다.

 

5) 수질오염물질을 제거한다.

습지에 서식하는 동식물, 미생물과 습지를 구성하는 토양 등은 주변으로부터 흘러나오는 각종 오염된 물을 흡수하여 오염물질을 정화시키고 깨끗한 물을 흘려보낸다. 습지의 이러한 자정능력은 습지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에게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6) 경제적으로 가치가 매우 높은 자원이다.

습지가 제공해 주는 경제적인 가치는 정확히 평가할 수는 없는 단계이지만, 양적으로는 수자원의 확보와 적정 유지에 기여해 수자원 개발 및 관리와 관련된 비용을 절감시켜 주며, 질적으로는 수질을 정화해 환경오염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켜 주고, 어업 및 수산업의 산실로서 전세계 어획고의 2/3 이상이 해안과 내륙습지의 이용과 관련되어 있어 막대한 수입원이 되며, 그 외에도 지역에 따라서 농업, 목재 생산, 이탄과 식물자원 등의 에너지 자원, 야생동물 자원, 교통수단, 휴양 및 생태관광의 기회 제공 등으로 매우 높은 경제적 가치가 있다.

 

7) 자연적 친수공간으로 심미적 효과가 크다.

습지는 물과 함께 다른 경관과 시각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독특한 경관 형태를 자아내고, 지역의 문화적 가치와 함께 생명력이 넘치는 역동적인 공간으로 인류사회의 내면적 경관적 가치와 관련되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을 기반으로 자연교육 및 체험장소로 활용되어 진다.

 

3은 습지의 전형적인 기능을 정리한 것인데, 습지 생태계는 환경변화에 매우 취약해(vulnerable), 한번 그 기능을 상실하면 다시 복원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습지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식물군락이 훼손되거나, 습지를 유지할 수 있는 수문, 수리적 토양의 특성이 변화하면 습지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은 현저히 저하되어 버린다. 따라서 습지 면적을 최대한 보전하며 습지가 가지고 있는 기능을 최대한 보존하여 인류사회에 유익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4는 지구생태계를 총가치 경제적 화폐로 비교한 것인데, 가장 높게 평가된 생태계는 하구역(estuary)으로서 연간 22,832 $/ha로 나타나, 지구의 숲 중에서 가장 생산력이 뛰어난 열대림보다 약 11배 이상 높다. 또한 육상생태계 보다는 해양생태계의 가치가 높으며, 해양생태계 중에서도 습지의 한 형태인 갯벌과 하구역은 여타 해양생태계보다 높게 나타났고, 육상생태계에서도 소택지, 범람원, 호수, 강등의 생태계가 여타 육상생태계보다 높게 평가되었다. 최근 발간된 영국의 과학전문지인 Nature(1997)에 의하면 갯벌의 생태적 가치는 1(0.01)US$ 9,990으로 농경지의 가치인 US$ 92보다 100배 이상의 가치를 가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4. 지구 생태계의 연간 총가치

생 태 계

면 적(백만)

연간 당 가치(US$)

연간 총가치 (십억US$)

%

해양생태계

- 대 양

- 연 안 역

*갯 벌

*하구역

*해조류

*산호초

*대륙붕

36,467

33,200

3,267 165 180

200 62 2,660

619

252

4,351 9,990 22,832 19,004 6,075

1,610

22,597

8,381 14,216 1,648 4,110

3,800 375 4,283

68

25 43 5 12

12

1

13

 

육상생태계

-

*열대림

*온대림

- 초 지

-소택지/범람원

- 호수/

- 사 막

- 툰드라

- 빙 하

- 농경지

- 도 시

15,158

4,885

1,900

2,955

3,898

165

200

1,925

743

1,640

1,400

332

703

969

2,007

302

232

19,580

8,498

 

 

 

92

 

10,671

4,706

3,813

894

906

3,231

1,700

 

 

 

128

 

32

14

11

3

3

10

5

 

 

 

-

 

총 계

51,625

 

33,268

100

(출처: Nature, 1997)


갯벌의 경제적 가치는 위에서 열거한 습지의 기능과 직접 관련이 있다. 최근 환경부(1996)와 해양수산부(1998)에서 실시한 가치 평가를 Nature(1997)과 비교평가한 자료는 표 5와 같은데, 우리 나라 갯벌의 가치를 Nature(1997) 보다 높게 평가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 나라 갯벌이 수산물의 생산과 어류의 서식지로서 경제적 가치가 외국보다 높기 때문이다. 다만, 환경부에서 평가한 자료에서는 갯벌의 자연재해조절 항목과 원료공급 항목을 평가하지 않았는데 이를 추가하여 평가하면 우리 나라 갯벌의 경제적 가치는 1US$ 27,316에 달하여 Nature(1997)의 평가보다 약 2.7배 가량 높다고 추정된다 (신안군, 1999).

5. 갯벌의 기능별 경제적 가치 비교

(단위 : 달러/ha)

갯벌의 기능

환경부(1996)

Nature(1997)

해양수산부(1998)

수산물생산

11,283

466

11,283

서식지

8,744

169

8,744

자연정화

4,794

6,695

4,794

심미성

494

658

494

자연재해조절

-

1,839

1,879

원료공급

-

162

162

합계

25,315

9,990

27,316

(출처: 신안군, 1999)

 


** 참고 문헌 **

 

1, 강상준, 1996. 한국 내륙습지의 현황과 파괴실태. 환경보전 9.

2. 신안군, 1999. 신안갯벌의 지속가능한 이용관리 기본계획.

3. 인천광역시, 1999. 최강원, 갯벌의 현명한 이용에 관하여. 인천 갯벌의 생태적 가치와 보전 방안. 갯벌보호 인천시민헌장제정과 람사지역 지정을 위한 심포지 움. 97 pp.

4. 임병선, 습지와 생물 다양성. 환경부. 습지 보전 및 현명한 이용을 위한 세미나. p.29-36.

5. 조창선, 1999. 해양용어사전. 일진사. 384 pp.

6 홍재상, 해양습지 생태계의 이해와 환경영향평가. ()한국습지보전연구회. 습지보전을 위한 환경영향평가. 1999. p.3-48.

7. 환경부, 1996. 습지보전 및 현명한 이용을 위한 세미나. 119 pp.

8. Cowardin, L. M., Carter. V., Golet. F. C., and LaRoe. E. T., 1979. Classification of Wetlands and Deepwater Habitats of the U.S.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Pub., FWS/OBS-79/31 WA. DC. 103 pp.

9. Mitsch, W. J. and Gosselink, J. G., 1986. Wetlands.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Inc., New York, U.S.A.

10. Korean Wetlands Alliance. 1999. National NGO Wetlands Report: RAMSAR

11. Osieck, E.R. and C.A. Borggreve, 1999. National Inventory of Ramsar sites in the Netherlands.

12. Yi, Gi-Chul, Risley, D., Koneff, M. and Davis, C., 1994. Creation, Value and Use of Ohio's GIS-based Wetlands Inventory.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49(1)23-28.

13. Yi, Gi-Chul, 1992. An Analysis of Disputants' Environmental Conflict Frames Relating to Ohio Wetland Conversion Disputes. Ph. D. Dissertation. Ohio State University, U.S.A.